<항해99 4주차 WIL>
·
항해99/WIL
(1) WIL 개요 항해 99에서의 네번째 주가 지났다. 드디어 기다리던 주특기 수업의 막이 올라갔다. 내가 선택한 언어는 javascript이며 node를 공부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node와 mongodb의 꿀 조합을 마스터하기 위해서 ㅎㅎ 앞으로 성능을 높이기 javascript를 go로 바꾸는 작업을 해야겠지만 지금은 node에 집중하면서 서버를 만들 계획이다. 어쨌든 무사히 주특기 기초 수업을 마치고 지금 주특기 심화 수업으로 넘어가서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토요일에는 스타트업 코딩 페스티벌 2차를 시험을 보았다. (2) 일정 3/22~3/25 주특기 기초(node js) 3/26 주특기 심화 시작 (node js) 3/27 스타트업 코딩 페스티벌 2차 시험 (3) 얻은 지식 프로젝트 주특기 기..
<항해99 3주차 WIL>
·
항해99/WIL
(1) WIL 개요 항해 99에서의 세번째 주가 지났다. 저번주와 마찬가지로 하루종일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이번주를 보냈다. 이번에는 최단 경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최소신장트리(크루스칼 알고리즘) N-Queen(백트리킹의 정수)를 다시 복습하고 공부하면서 알고리즘 실력을 다지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여태까지 공부한 것을 시험하기 위해서 스코페를 신청해서 시험에 응시하였다. (2) 일정 3/15~3/18 알고리즘 2추자 3/19 주특기 시작 (node js) 3/20 스타트업 코딩 페스티벌 (3) 얻은 지식 알고리즘 기본 지식 습득 소수구하기 소수구할 때는 그냥 에라토스테네스체를 이용하자 이것이 가장 빠른 것 같다. 신나는 함수실행 memorization을 할 때 return 값은 memo[key]..
<항해99 2주차 WIL>
·
항해99/WIL
(1) WIL 개요 항해 99에서의 두번째 주가 지났다. 하루종일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이번주를 보냈다. 저번주 금요일을 부터 시작해서 달려온 알고리즘 주차는 힘들기도 했지만 성장이 느껴졌다. 주로 나는 DP,BackTracking이 부족하여 공부를 했다. 이번주에는 내가 물제를 풀면서 다른사람들과 다르게 생각했던 문제들이나, 풀면서 어려웠던 부분, 어떤식으로 개념을 구체화 했는지 작성할 계획이다. (2) 일정 알고리즘 기본 지식 습득 알고리즘 문제은행 (3) 얻은 지식 알고리즘 기본 지식 습득 소수구하기 소수구하기는 대표적으로 에라토스테네스체를 사용하면 쉽게 풀린다. 에라토스테네스체는 처음 0~구간 까지의 소수를 구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그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만 판단할 때는 연산이 많아지..
<항해 99 1주차 WIL>
·
항해99/WIL
(1) WIL 개요 항해 99에서의 첫 일주일이 지났다. 4일동안 9시부터 새벽 2시까지 개발하면서 하나의 미니 프로젝트를 완성했고 미니 프로젝트를 완성한 후에 이제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있다. 금요일에는 이제 새로운 팀원들을 만나면서 알고리즘 공부를 진행했다. 튜터님께서 우선 금요일 부터 월요일에 해당하는 문제를 다 풀고 강의를 들으라고해서 금요일에 금토월에 해당하는 문제를 모두 풀려고했지만 쉽게 풀리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공부를 하면서 알고리즘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2) 일정 미니프로젝트 알고리즘 (3) 얻은 지식 미니프로젝트에서 얻은 지식 1. git!!! 매번 혼자만 git을 사용해서 여러 사람과 협업을 할 때 처음 싸봤다. add, commit push pull branch 이제 좀 이해가 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