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 플러스 6주차
·
항해99
(1) WIL 개요 ECS 배포하기 서비스 배포하기 Github-Action으로 CI/CD 구축하기 (2) 일정 7/10~7/16 CI/CD 배포 및 구축 (3) 얻은 지식 테라폼으로 ecs을 성공적으로 배포했다. 하지만 아직 CI/CD가 남아있어서 그부분을 해결해야할것 같다... ㅜㅜ (4) 느낀 점 테라폼을 통해서 aws를 많이 알게되었다.
항해 플러스 2주차
·
항해99
(1) WIL 개요 ECS 배포하기 서비스 배포하기 Github-Action으로 CI/CD 구축하기 (2) 일정 7/3~7/9 CI/CD 배포 및 구축 (3) 얻은 지식 같은 팀원분과 같이 ECS 자체를 공부하면서 다시 한번 ECS에 대해서 정리할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그래서 한단계 더 나아가 저희팀은 terraform을 이용해서 인프라를 구축하려했습니다. 실제 terraform을 이용하니 쉽고 빠르게 인프라를 구축할수 있었습니다. (4) 느낀 점 Github Action을 다하지 못했습니다. 실제로 한번 다시 검사하면서 작동할수 있게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Terraform은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인프라 구축할때는 Terraform을 적극 이용할 생각입니다.
<항해99 12주차 WIL>
·
항해99
(1) WIL 개요 테스트 코드에 집중하는 시기였습니다. 백엔드 코드를 다 짜고 유닛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에 집중하였고 도커 공부와 부하 테스트를 공부하려고 했습니다. (2) 일정 5/17~5/23 파이널 프로젝트 (3) 얻은 지식 파이널 프로젝트 유닛 테스트 (unit test) 포스트맨으로 일일이 테스트를 해보니 테스트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미루고 미뤄왔던 (이러면 안 되지만 ㅜㅜ) 테스트를 작성에 필요성을 느끼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 저희의 코드는 크게 service와 controller로 구성되어있어 실질적 코드는 service가 담당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service에서 유닛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테스트를 계속 작성해보려고 노력했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항해99 11주차 WIL>
·
항해99
(1) WIL 개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보았습니다.!!! (2) 일정 5/10~5/16 파이널 프로젝트 5/13 월간코딩 챌린지 (3) 얻은 지식 파이널 프로젝트 인프런에있는 도커 강의를 구입해서 도커를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테스트를 처음 해보았습니다. 아직 많이 부족했습니다.nginx 배포를 해보았습니다. 오류가 너무 많습니다. ㅜㅜ 프로젝트를 하면서 겪었던 문제는 시간문제였습니다. 처음에는 프론트분들이 편하도록 GMT 시간에 맞춰서 DB에 저장하려고 했는데 DB에서 GMT 시간을 저장하지 못하고 UTC만 저장이 가능한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그 다음 방법으로 모든 시간을 줄때 UTC에서 9시간을 더해서 DB에 넣으려고했지만 이미 createAt, updateAt 같은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타입에서는..
<항해99 10주차 WIL>
·
항해99
(1) WIL 개요 마지막 프로젝트 백엔드 완수 (2) 일정 5/3~5/8 파이널 프로젝트 진행 5/5 미소 강연 5/6 코드리뷰 5/7 프로젝트 검수 (3) 얻은 지식 파이널 프로젝트 파이널 프로젝트를 typescript로 진행하면서 oop관점으로 프로그램을 하기로 하였다. 그래서 가감하게 controller class와 service class로 나누는 것을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controller에 모든 로직을 작성했다면 이제는 실질적 로직을 service class로 나누면서 class가 맞는 역할을 분리하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변화하니 controller에서는 req에 대한 정보에만 신경쓰면 되고 실질적으로 작성하는 로직은 service가 담당하였습니다. service에 다양한 함수를 작성하..
<항해99 7주차 WIL>
·
항해99
(1) WIL 개요 항해 99에서의 일곱번째 주가 지났다. 여섯번 째 주는 스킵을... 이번 주차의 핵심은 미니 프로젝트의 시작이다. 우리 조는 slack을 클론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passport, socket.io, s3 파일 업로드 새로운 것들을 많이 적용해았다. 다음주까지 미니프로젝트를 잘 마무리하고 마지막 프로젝트를 잘 마무리하고 싶다. (2) 일정 4/12~4/18 미니프로젝트 실행 4/17 월간 코드 챌린지 (3) 얻은 지식 미니 프로젝트 미니 프로젝트에서 많은 것을 시도해봤다. 우선 소셜로그인을 위해서 passport.js를 이용해서 카카오톡 로그인을 구현했다. passport를 이용하니 간편하게 소셜로그인을 구현했다. 하지만 정석이 아니라 나중에 정리를 해 볼 생각이다. s3..
<항해99 5주차 WIL>
·
항해99
(1) WIL 개요 항해 99에서의 다섯번째 주가 지났다. 주특기 심화 마지막 주이면서 클론코딩이 시작되는 주이다. 주특기 심화에서 test에서 대해서 많이 배웠다. test,test,test..🍖 주특기 심화에서 배운 것들이 매우 많았다 jest, jwt, socket.io ,sequelize 많은 라이브러리를 배우고 개념을 배우게 되었다. 기대하던 클론코딩 주에서는 careerly 앱을 클론코딩을 한다. (2) 일정 3/29~4/1 주특기 기초(node js) 4/1 크루원들 정모 4/2 네이버 자소서 4/2 주특기 심화 시작 (node js) (3) 얻은 지식 프로젝트 주특기 심화과제는 블로그 과제에서 댓글과 로그인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아직 passport에 대해서는 다 공부하지는 못했지만 짬..
<항해99 4주차 WIL>
·
항해99/WIL
(1) WIL 개요 항해 99에서의 네번째 주가 지났다. 드디어 기다리던 주특기 수업의 막이 올라갔다. 내가 선택한 언어는 javascript이며 node를 공부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node와 mongodb의 꿀 조합을 마스터하기 위해서 ㅎㅎ 앞으로 성능을 높이기 javascript를 go로 바꾸는 작업을 해야겠지만 지금은 node에 집중하면서 서버를 만들 계획이다. 어쨌든 무사히 주특기 기초 수업을 마치고 지금 주특기 심화 수업으로 넘어가서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토요일에는 스타트업 코딩 페스티벌 2차를 시험을 보았다. (2) 일정 3/22~3/25 주특기 기초(node js) 3/26 주특기 심화 시작 (node js) 3/27 스타트업 코딩 페스티벌 2차 시험 (3) 얻은 지식 프로젝트 주특기 기..